구분 | 오더생산 | 반복생산(REM : Repetitive Manufacturing) |
- 작업오더에 의해 생산. - 제조공정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 반복적인 형태로 생산이 이루어지는 제조공정(화학/정유 업종 등) - 투입에서 완성까지의 제조 Lead-Time이 짧은 LINE 생산 체제에 적용하는것이 일반적이다. |
|
특징 | - 작업오더에 의한 작업지시 - 작업오더별 자재출고 처리 - 작업오더 원가집계 - 작업오더 생산실적 처리 - 작업오더 진척관리 |
- 작업 스케쥴에 의한 작업지시 - 생산실적처리시 자재출고처리(Backfiush) - 기간(작업스케쥴)별 원가집계 - 작업스케쥴별 생산실적 처리 - 작업스케쥴별 진척관리 |
장점 | - 작업오더에 의한 엄격한 공정관리 가능. - 작업오더별 원가관리 및 진척관리. |
- 생산지시가 비교적 간단 - 자재출고 처리에 대한 시간이 적게 소요 - 생산실적 처리가 비교적 간편 |
단점 | - 작업오더별 관리에 어려움이 많다. - 자재출고에 대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생산실적 처리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 엄격한 공정관리가 어렵다 - 재공정보에 대한 신뢰가 떨어짐 |
* 생산투입방법
- REM 방식 : T-CODE MFBF으로 BOM 생산 투입. REM 방식은 IMG 세팅에서 '반복제조 프로파일'을 사용하며 백로그는 COGI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반복제조 프로파일 설정 시에 백로그 오류 처리 방법을 조정 가능함(후행처리 리스트를 사용(개별 또는 누적 리스트 생성)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음 = MF45, MF47 사용 여부)
특정 세팅을 더하면 COGI 리스트에도 같은 데이터가 발생하도록 세팅
그 외,
구분 | MTS | MTO | ATO | BTO | CTO | DTO | ETO |
설명 | Make To Stock |
Make To Order |
Assemble To Order |
Built To Order |
Configure To Order |
Design To Order |
Engineer To Order |
내용 | 계획 생산. 재고 비축 생산. |
주문 생산. 재고 비축 X |
MTS+MTO. 반제품 재고 비축 후 잔여 공정 진행. |
반제품 재고 비축 X. 주문 후 제작 |
표준 제품이 없이 전체가 고객 커스텀 된 제품 | 주문 설계 | 고객이 모든 의사결정. 공급사는 생산만 하면 됨. 재고관리 X. |
산업군 | 정유, 화학 등 | 항공기, 선박 제작 등 | 항공기 제작 등 | ||||
차이점 | 공급사가 스펙 결정 |
잔여 공정 수행 |
부품 조립만 수행 | 고객이 스펙 결정 |
SCM 모듈은 업종별로 사용하는 방식이 다르므로
정리해보았다.
SAP PP - 공정(라우팅)과 제어키/워크센터 (0) | 2022.12.01 |
---|---|
SAP PP 제품 계층 구조 / IMG 세팅 (0) | 2022.11.28 |
SAP PP - 백플러시 개념, 에러 등 정리 (1) | 2022.11.28 |
SAP PP T-CODE 정리 - BOM 관련 (0) | 2022.09.14 |
[SAP PP]작업지시의 생성/확정 스탠다드로 연습 (0) | 2022.04.29 |